상위 문서 : 갑인어족
개요
갑인어족 언어들의 기본적인 문법을 설명하는 문서이다. 아래 내용은 헤이어를 기준 삼아 작성되었다.
음운조화
갑인어족 언어에는 모음조화와 자음조화가 모두 존재한다. 다만 단어 자체보다는, 접사와 결합할 때에 엄격하게 지켜지는 편이다.
우선 자음조화란, 어느 한 단어가 자음으로 된 접미사와 결합할 때에 발생하는 것이다. 단어의 어말이 유성음일 경우 마찬가지로 유성음이거나 혹은 무기 무성음인 접미사와만 결합이 가능하고, 반대로 무성음일 경우 유기 무성음인 접미사와만 결합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자음조화는 다음의 모음조화가 동반되어야만 한다.
모음조화는 단어와 접미사 사이에서 발생한다. i와 u 그리고 e와 o가 조화쌍을 이루며, v와 a는 스스로를 짝으로 삼는다. 접미사가 여럿 붙을 때에는 일반적으로 이어붙이는 것이 원칙이나, 파열음의 경우에는 사이에 모음을 첨가한다.
품사론
명사 · 대명사 · 수사 · 동사 · 형용사 · 부사 · 접사 · 감탄사로 총 8개의 품사가 있다. 아래에서는 각 품사 별 세부적인 분류 및 관련된 접사를 설명토록 한다.
- 명사(-r)
- 보통명사
- 고유명사
- 대명사
- 인칭대명사
- 지시대명사
- 수사
- 기수사
- 서수사(-lv-)
- 동사
- 자동사(-d, -du, -tu)
- 사동사(-d, -du, -tu)
- 피동사(-qi-)
- 형용사(-p, -f)
- 부사(-m, -n, -g)
- 접사
- 감탄사
명사
갑인어족 언어의 명사는 보통명사와 고유명사로 나뉜다. 접미사 -r를 사용하여 동명사를 만들 수 있다. 한국어의 -ㅁ, 영어의 -ing 등과도 비슷한 용법이다.
- elebad(알다) + -r(명사화) = elebadar(앎, 상식 …)
대명사
갑인어족 언어의 대명사는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로 나뉜다.
- 인칭대명사
- 1인칭: Omi(나), Zomi(우리)
- 2인칭: Fio(너), Zio(너희)
- 3인칭: -tax(단)/-zax(복)를 붙인다.
- Contax(이), Conzax(이들)
- Daltax(저), Dalzax(저들)
- Niyax(그), Nicax(그들)
- 부정칭: Gup(누구), Zup(누구누구)
- 지시대명사
- 지시사
- Con(이것), Zon(이것들)
- Dal(저것), Zal(저것들)
- Nit(그것), Zit(그것들)
- 의문사: Gup(무엇), Zup(무엇무엇)
- 지시사
수사
갑인어족 언어의 수사는 기수사와 서수사로 나뉜다. 접요사 -lv-를 사용하여 서수사를 만들 수 있는데, 기수사를 갈라 두번째 음절로 들어간다. 십진법 체계이며, 큰 수의 단위는 만을 기준으로 올라간다.
- 영: Geg
- 일: Nvw - Nvlvw
- 이: Gnian - Glvnian
- 삼: Uac - Ulvac
- 사: Oic - Olvic
- 오: Seyu - Selvyu
- 육: Zefu - Zelvfu
- 칠: Kazi - Kalvzi
- 팔: Maxi - Malvxi
- 구: Plam - Plvlam
- 십: Bog - Bolvg
- 백: Jum - Julvm
- 천: Log - Lolvg
- 만: Xou - Xolvu
- 십만: Bogxou - Bolvgxou
- 백만: Jumxou - Julvmxou
- 천만: Logxou - Lolvgxou
- 억: Gam - Galvm
- 십억: Boggam - Bolvagam
- 백억: Jumgam - Julvmgam
- 천억: Loggam - Lolvggam
- 조: Dog - Dolvg
- 십조: Bogdog - Bolvgdog
- 백조: Jumdog - Julvmdog
- 천조: Logdog - Lolvgdog
- 경: Nim - Nilvm
- 십경: Bognim - Bolvgnim
- 백경: Jumnim - Julvmnim
- 천경: Lognim - Lolvgnim
동사
갑인어족 언어의 동사는 자동사, 사동사, 피동사로 나뉜다. 접미사 -d는 명사에 붙으면 동사가 되고, 동사나 형용사에 붙으면 사동사가 된다. 일반적으로는 -d를 사용하지만, 간혹 -du와 -tu를 사용하기도 한다. 유성 자음일 경우 -du / 무성 자음일 경우 -tu가 붙으며, 이들은 모음을 첨가하지 않는다. 접요사 -qi-는 자동사를 피동사로 만들며, 자동사를 갈라 두번째 음절로 들어간다.
- elebad(알다) + -d(사동사화) = elebadad(알게 하다)
- elebadad(알게 하다) + -r(명사화) = elebadadr(알게 함)
- elebad(알다) + -qi-(피동사화) = eqilebad(알리다)
- eqilebad(알리다) = -r(명사화) = eqilebadr(알림)
- zomia(노래) + -du(동사화) = zomiadu(노래하다)
- meiks(그림) + -tu(동사화) = meikstu(그리다)
형용사
갑인어족 언어의 형용사는 무조건적으로 가지는 요소가 있는데, 전부 2-3음절이고 어말이 장모음 혹은 비모음이다. 서술어로 쓰일 때는 원 형태대로 사용하고, 장모음으로 끝나는 형용사에 접사가 붙을 때는 단모음으로 바뀐다. 접미사 -p, -f를 사용하여 형용사를 만들 수 있으나 입말로는 거의 쓰이지 않고, 문학적인 표현으로 활용한다.
- Elebadar cancoo(상식이 많다)
- Cancon elebadar(많은 상식)
- Elebadart ceg(상식을 모르다)
- Elebadar cegop(상식이 모르다)
부사
갑인어족 언어에는 원래부터 부사인 단어가 따로 없고, 보통은 접미사 -m, -n, -g을 사용하여 부사화한 단어를 사용한다. 부사화를 할 때에는 음운 조화가 가장 복잡한 편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우선 마지막 음절의 자음이나 어말 자음이 양순음인 것은 -m, 권설음인 것은 -n, 경구개음·후두개음인 것은 -g을 붙이는 것이 기본이다. 하지만 m은 -g을, n은 -m을, g은 -n을 붙여야 한다.
- Elebadan tax(아는 사람)
- Wicumig tax(캐는 사람)
- Cejinum tax(부리는 사람)
- Bepom tax(지우는 사람)
- Salkig tax(빠른 사람)
접사
갑인어족 언어의 접사는 접미사와 접요사로 나뉜다. 접미사는 또다시 품사와 관련한 접미사와 격과 관련한 접미사로 나뉜다. 갑인어족 언어의 문법 대부분은 이 접사가 좌지우지하므로, 접사의 활용법을 잘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탄사
갑인어족 언어의 감탄사에는 인사, 환호, 호응, 탄식, 욕설 등등이 포함된다. 아래는 갑인어족 언어의 대표적인 감탄사이다.
- Jaixam (안녕하세요)
- Gruy (좋아요)
- Demaq (대단해요)
- Owa / Wa (와)
- Og (오호)
- Gempas (맙소사)
통사론
수, 격, 인칭
상, 서법, 태
도보게
각주
- ↑ 2024년 10월 5일 03시 59분 16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