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루시코와/Rusikowa |
-------- | |||||||||||||||||||||||||||||||||||||||||||||||||||||||||||||||||
도시/지리 | 슬라이 / 포위프 / 츠리메 / 세베사냐 | ||||||||||||||||||||||||||||||||||||||||||||||||||||||||||||||||||
신화 | 루시로 / 슬루 루시치 | ||||||||||||||||||||||||||||||||||||||||||||||||||||||||||||||||||
언어/문자 | 로포나어 / 루시메즈 / 세베나어 | ||||||||||||||||||||||||||||||||||||||||||||||||||||||||||||||||||
문화 | 샤모초 | ||||||||||||||||||||||||||||||||||||||||||||||||||||||||||||||||||
[ 관련 틀 ]
|
사용 국가 | 루시코와 |
---|---|
사용 민족 | 샤모초 |
어순 | 자유어순 |
언어코드 | RP-RK |
사전 | 로포나어_사전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루시코와 |
표기문자 | 신성문자, 루시메즈 |
언어 | 언어명+ |
---|---|
로포나어 | |
퍈프소븜 | fjan ropona |
한국어 | 로포나어 |
영어 | Roponese |
일본어 | ロポナ語 |
한문 | 聯邦語(夢國語) |
안드로어 | fhvhskdj |
메다어 | yvpvhfjt |
이곳은 정보 업데이트가 늦기 때문에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6-qQwoJv8KHRuCMVxFCBGsRc-ZGwHD5Q?usp=share_link를 참고하는 것을 추천한다.
개요
https://www.youtube.com/watch?v=JfqIPXSjgTg?si=ndTxAmEC4uVAtyZN 로포나어로 욕심 많은 광부 이야기를 쓰는 영상.
로포나어는 루시코와의 공용어이다. 연방의 언어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현실은 단방제인 루시코와의 공용어일 뿐이다. 그럼에도 "연방"이라는 뜻의 "로포"를 쓰는 이유는 루시로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문장 형식은 크게 2가지이며[3] 교착어이기 때문에 어순이 완벽하게 자유롭다는 특징이 있는데, 보통은 SOV 형식이다. 또한 한자음을 상고 한카어 시절에 받아와서 독법이 상당히 특이하다.
역사
음운
자음자는 단독적으로 표기할 수 없어서 모음자 와 조합된 형태로 서술하였다.
양순 |
치경 |
경구개 |
연구개 |
성문 |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
비 |
m ⟨(m)⟩ |
n ⟨(n)⟩ |
||||||||
파 열 |
p ⟨(p)⟩ |
b ⟨(b)⟩ |
t ⟨(t)⟩ |
d ⟨(d)⟩ |
k ⟨(k)⟩ |
ɡ ⟨(g)⟩ |
ʔ ⟨(x)⟩ | |||
파 찰 |
t͡s ⟨(c)⟩ |
d͡z ⟨(z)⟩ |
||||||||
마 찰 |
ɸ ⟨(f)⟩ |
s ⟨(s)⟩ |
x ⟨(h)⟩ |
|||||||
접 근 |
j ⟨y[4]⟩ |
|||||||||
설측 접 근 |
l ⟨(l)⟩ |
|||||||||
전 동 |
r ⟨(r)⟩ |
|||||||||
양순연구개 | ||||||||||
접 근 |
w ⟨w[4]⟩ |
- 파열음과 파찰음의 경우, 유기무성음과 무기유성음으로 대립한다.
- 로마자 표기법에서, 활음이 붙는 일부 경우에 표기 축약이 발생한다.
- cy · zy · sy → č · j · š
- kw · gw · hw → q · ğ · f
- 자음의 음운 변동[5]
- 순음퇴화: [w]가 [kʰ]·[g]·[x]⟨h⟩·[ʔ]⟨x⟩를 제외한 모든 자음 앞에서 발음되지 않는다.
- 구개음화: [tʰ~kʰ]·[d~g]·[x]⟨h⟩가 [j]⟨y⟩나 [i] 앞에서 [t͡ɕʰ]⟨č⟩, [d͡ʑ]⟨j⟩, [ɕ]⟨š⟩로 발음된다.
|
전설 |
중설 |
후설 | |||
---|---|---|---|---|---|---|
|
평 |
원 |
평 |
원 |
평 |
원 |
고 |
i ⟨(i), (wi)⟩ |
ɯ ⟨[6]⟩ |
u ⟨(u), (yu)⟩ | |||
중 고 |
e ⟨(e), (ye), (we)⟩ |
ɤ ⟨(ə), (yə), (wə)⟩ |
o ⟨(o), (yo), (wo)⟩ | |||
근 저 |
ɐ ⟨(a), (ya), (wa)⟩ |
- 모음의 음운 변동[5]
- 전설모음화: [ɯ]와 [ɤ]⟨ə⟩가 유음 앞에서 전설모음으로 발음된다.
- 원순모음화: [ɯ]와 [ɤ]⟨ə⟩가 양순음 뒤에서 원순모음으로 발음된다.
문법
품사론
품사 | 종류 | 설명 |
---|---|---|
명사 | 대명사 | 사물의 이름을 나타냄 |
자립명사 | ||
의존명사 | ||
수사 | 일반수사 | 수량이나 수사를 나타냄 어간 만으로도 쓰일 수 있음 |
양사 | ||
동사 | 상태동사 | 사물의 상태나 동작을 나타냄 가장 복잡하게 굴절됨 단어마다 필요한 주성분이 다름[7] |
동작동사 | ||
관형사 | - | 명사·수사 후치수식 |
부사 | - | 동사 후치수식 |
명사
대명사
1인칭 | 2인칭 | 3인칭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남성 | 我 (xig’n) |
我 (xig’zun) |
汝 (šiníd) |
汝 (šinízud) |
其男 (xičitelít) |
其男 (xičitelízut) |
여성 | 吾 (ukón) |
吾 (ukózun) |
其女 (xičianín) |
其女 (xičianízun) | ||
중성 | 余 (šíz) |
余 (šízuz) |
其人 (xičijujúk) |
其人 (xičijujúzuk) | ||
사물 | 其所 (xičifucém) |
其所 (xičifucézum) |
- 로포나어는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는데, 모든 단어는 기본적으로 단수이다. 이를 복수로 만들기 위해서는, 어간의 마지막 모음 뒤에 zu를 넣어주면 된다. 나를 뜻하는 ukón이 복수형이 되면 ukózun이 되어 우리를 뜻하게 되는 것처럼 말이다.
- 로포나어는 1·3인칭 대명사에서 남·여·중성을 구분한다. 만약 복수 대명사를 써야 할 때 남녀가 섞여있으면 1인칭은 자신의 성별을 기준으로, 3인칭은 중성형으로 쓴다. 중성 인칭대명사의 경우는, 인터넷에서 자신의 성별을 밝히고 싶지 않거나 진짜로 중성일 때 사용한다.
- 로포나어의 "이/저/그/어떤"을 나타내는 관형사 是(riz’r), 彼(cpíl), 其(xičík), 何(ahə́p)은 어말 자음을 제거한 후 전치형 접사로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何人(ahəjujúk)는 "어떤 사람"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격변화
격 | 예시 | ||||
---|---|---|---|---|---|
주격 |
a. 人 (jujúk) |
+ | (wi) |
→ | 人 (jujúqi) |
b. 我 (xig’n) |
我 (xig’ni) | ||||
c. 汝 (šiníd) |
汝 (šiníji) | ||||
대격 |
d. 㒱 (rušín) |
(ye) |
㒱 (rušínye) | ||
e. 川 (čeqág) |
川 (čeqáje) | ||||
사동격 |
f. 星 (pisə́s) |
(a) |
星 (pisə́sa) | ||
호격 |
g. 女 (anín) |
(i) |
女 (aníni) | ||
h. 土 (čizúk) |
土 (čizúči) | ||||
여격 |
i. 花 (alét) |
(əğu) |
花 (alétəğu) | ||
j. 鳥 (jenyáp) |
鳥 (jenyápoğu) | ||||
k. 児 (šál) |
児 (šáleğu) | ||||
탈격 |
l. 水 (jičés) |
(iqu) |
水 (jičéšiqu) | ||
m. 民 (sabajít) |
民 (sabajíčiqu) | ||||
도구격 |
n. 北 (berór) |
(ağu) |
北 (berórağu) | ||
공동격 |
o 足 (kobaxíd) |
(ğu) |
足 (kobaxídğu) | ||
p. 界 (kojép) |
界 (kojépuğu) | ||||
q. 軍 (bac’r) |
軍 (bac’riğu) | ||||
향격 |
r. 內 (pejudád) |
(omu) |
內 (pejudádomu) | ||
비교격 |
s. 祕 (həbís) |
(ədu) |
祕 (həbísədu) | ||
t. 涙 (šimúm) |
涙 (šimúmodu) | ||||
u. 夜 (jajíl) |
夜 (jajíledu) |
이 중 여격, 도구격, 탈격, 향격이 쓰이는 상황이 한국어와 약간 다른데, 이는 다음과 같다.
격 | 예시 | ||||
---|---|---|---|---|---|
여격 |
동사 작용의 대상을 나타낸다. (~에게) | ||||
동작이 이루어지는 시간, 장소를 나타낸다. (~에) | |||||
처격 |
시간, 공간적인 동작의 출발점을 나타낸다. (~에서) | ||||
동작의 주체를 나타낸다. (~에게서, ~로부터) | |||||
(수동태에서) 동작의 주체를 나타낸다. (~에게) | |||||
도구격 |
이유나 원인 등을 나타낸다. (~때문에) | ||||
수단, 방법, 재료 도구 등을 나타낸다. (~로) | |||||
동사 작용의 가용시간을 나타낸다. (~이면) | |||||
향격 |
공간적인 동작의 목적지를 나타낸다. (~에, ~로) | ||||
변화의 결과를 나타낸다. (~로) | |||||
동사에게 수식받는 所에 붙어 동작이나 작용의 목적을 나타낸다. (~하러) |
보조사
다음은 로포나어의 보조사이다. 보조사는 단어의 맨 뒤에 선택적으로 붙는다. 다만, 로포나어는 한국어나 일본어와 달리 격을 나타내는 굴절어미를 생략할 수 없다.
보조사 | 예시 | ||||
---|---|---|---|---|---|
~은/는 |
a. 月 (facúči) |
+ | (ši) |
→ | 月 (facúčiši) |
~도 |
b. 髪 (izéxye) |
(sa) |
髪 (izéxyeda) | ||
~까지 |
c. 翌 (ríboğu) |
(xi) |
翌 (ríboğuxi) | ||
~마저/조차 |
d. 春 (təríbi) |
(cu) |
春 (təríbicu) | ||
~뿐/만 |
e. 吾 (ukóni) |
(da) |
吾 (ukónida) | ||
~밖에 |
f. 其所 (xičifucémye) |
(z) |
其所 (xičifucémyez) | ||
~이나/나 |
g. 昨 (rizári) |
(mye) |
昨 (rizárimye) | ||
~만큼 |
h. 猫 (zmyáxwi) |
(re) |
猫 (zmyáxwire) |
수사
다음은 로포나어의 고유어 수사이다. 로포나어의 수사는 14진법 체계를 따른다. 루시로의 사람들은 수를 셀 때 손가락만 접는 것이 아닌 손팔목도 접기 때문이다.
수 | 표기 | 발음 | 수 | 표기 | 발음 |
---|---|---|---|---|---|
0 | 〇 | ilyə́z | 1 | 一 | smíp |
2 | 二 | abép | 3 | 三 | resád |
4 | 四 | céh | 5 | 五 | reúl |
6 | 六 | fulúz | 7 | 七 | šičíb |
8 | 八 | sobéz | 9 | 九 | wajúl |
A | 十 | sohə́p | B | 甲 | res’d |
C | 乙 | jišír | D | 丙 | xicák |
10 | 丁 | sağún | 11 | 丁一 | sağu-smíp |
11(14)부터는 굴절어미와 조합되지 않는 수사의 마지막 자음을 삭제하여 발화하는데, 예를 들면 16(14)은 丁六이라 쓰고 sağún-fulúz라 읽는 것이 아닌 sağu-fulúz라고 읽게 된다. 34(14)도 동일하다. 三丁四라 쓰고 resasağu-caíh라고 읽는다. 하지만 로포나어에는 한자어에서 유래된 수사 또한 존재하는데, 보통은 20(14)까지는 고유어로 수를 세다가 21(14)부터 한자어로 수를 세기 시작한다. (30(14)처럼 100(14)보다 작은 10(14)의 배수도 고유어로 센다) 단, 양사 日(wez’r), 㫑(dám)와 함께 쓰이면 항상 고유어로 쓰인다. 다음은 한자어에서 유래된 수사이다.
수 | 표기 | 발음 | 수 | 표기 | 발음 |
---|---|---|---|---|---|
0 | 〇 | rím[8][9] | 1 | 一 | čím[10] |
2 | 二 | ním | 3 | 三 | sóm |
4 | 四 | ijím[10] | 5 | 五 | nám |
6 | 六 | ryúm[9] | 7 | 七 | šinijím[10] |
8 | 八 | pijím | 9 | 九 | kúm |
A | 十 | zúm | B | 甲 | cám |
C | 乙 | čim[10] | D | 丙 | pám |
10 | 丁 | ritém[9] | 15 | 丁五 | rite-nám[9] |
D9 | 丙丁九 | palite-kúm[9] | DD | 丙丁丙 | palite-pám[9] |
100[11](196[12]) | 百 | pyám | 1000[11](2744[12]) | 千 | šiním |
10000[11](38416[12]) | 万 | mám | 10^5[11](14^5, 약 54만[12]) | 億 | čám |
10^A[11](14^10, 약 2893억[12]) | 兆 | rém | 10^11[11](14^15, 약 16경[12]) | 京 | cám |
동양에서 만 단위로, 서양에서 천 단위로 큰 수를 끊어 읽는 것처럼, 로포나어에서는 10^5(14)단으로 끊어 읽는다. 예를 들어, 10^7(14)는 百亿(pya-čám)이라고 읽는다. 또한, 亿, 兆, 京은 바이트를 뜻하는 양사 字莭(raxiším)과 함께 쓰이면 2^19, 즉, D90D2(14)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 亿는 2^19, 兆는 2^38, 京는 2^57이 되는 식.
- 로포나어의 수 관형 표현
- 세 사람: 3명 + -인 + 사람 → 3명인, 사람 → 3명인 사람
- 물 다섯 잔: 5잔 + -인 + 물 → 5잔인, 물 → 5잔인 물
동사
보통 주성분이라 함은 주어·목적어·보어·서술어 이 4가지이지만 로포나어에서는 몇몇 부사격 명사까지 주성분에 포함된다. 문장에서 어떤 주성분을 요구하는지는 서술어에 따라 다르다.
시제·상
다음은 동사가 시제나 상에 따라 어떻게 굴절하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활용 | 예시 | ||||
---|---|---|---|---|---|
현재시제 |
a. 消 (šiskóp) |
+ | (e) |
→ | 消 (šiskópe) |
현재진행 |
b. 化 (rewíx) |
(o) |
化 (rewíxo) | ||
현재완료 |
c. 說 (ejíz) |
(abi) |
說 (ejízabi) | ||
과거시제 |
d. 也 (faéd) |
(a) |
也 (faéda) | ||
과거진행 |
e. 居 (sjín) |
(ko) |
居 (sjínko) | ||
f. 建 (icóm) |
建 (icómuko) | ||||
g. 作 (čizál) |
作 (čizáliko) | ||||
과거완료 |
h. 去 (cxík) |
(wazu) |
去 (cxíqazu) | ||
i. 延 (cór) |
延 (córazu) | ||||
미래시제 |
j. 行 (harél) |
(i) |
行 (haréli) | ||
k. 不 (hajizúk) |
不 (hajizúči) | ||||
미래진행 |
l. 見 (mát) |
(əko) |
見 (mátəko) | ||
m. 宿 (mesúb) |
宿 (mesúboko) | ||||
n. 流 (šičicár) |
流 (šičicáreko) | ||||
미래완료 |
o. 死 (dasát) |
(ağu) |
死 (dasátağu) |
서법
다음은 로포나어의 서법이다. 서법을 나타내는 굴절어미는 시제·상을 나타나는 굴절어미보다 뒤에, 그리고 선택적으로 붙는다.
서법 | 예시 | ||||
---|---|---|---|---|---|
가정법[13] |
a. 如 (nikóde) |
+ | (ši) |
→ | 如 (nikódeši) |
가능법 |
b. 読 (emáse) |
(da) |
読 (emáseda) | ||
명령법[14] |
c. 持 (sos’re) |
(to) |
持 (sos’reto) | ||
-V 부정문 |
d. 動 (čizópe) |
(da) |
動 (dačizópe) | ||
-V 의문문 |
e. 步 (zšáxe) |
(ri) |
步 (rizšáxe) | ||
-V 부정의문문 |
f. 起 (wéke) |
(dali) |
起 (daliwéke) |
태
마지막으로, 태를 나타내는 굴절어미는 동사의 가장 끝부분에 붙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태 | 예시 | ||||
---|---|---|---|---|---|
수동태[15] |
a | 木 | 吾 | 飬。 | |
mudocús-wi | ukón-iqu | yapúm-e-ø-s | |||
tree-NOM | 1SG-ABL | raise-PRS-IND-PASS | |||
나무는 | 나에게 | 길러진다. | |||
사동태 |
b | 汝 | 吾 | 去。 | |
šiníd-wi | ukón-ye | cxík-e-ø-ne | |||
2SG-NOM | 1SG-ACC | go-PRS-IND-CAUS | |||
너는 | 나를 | 가게 만들었다. | |||
c | 汝 | 吾 | 木 | 飬。 | |
šiníd-wi | ukón-ye | mudocús-a | yapúm-e-ø-ne | ||
2SG-NOM | 1SG-ACC | tree-CACC | raise-PRS-IND-CAUS | ||
너는 | 내가 | 나무를 | 기르게 만들었다. |
관형사/부사
로포나어의 부속성분은 관형어와 부사어가 있다. 이 문단에서는 이 중 문장이나 동사가 부속성분이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다루고자 한다.
관형사와 속격 명사 같은 경우는 어떤 "격"의 명사를 꾸며주는지 어간 직후에 나타낸다. 이 중 관형사는 자신이 수식하는 명사의 격이 굴절하는 방식대로 굴절한다. 예를 들어, 주격 명사를 수식하는 관형사라면 주격 명사처럼 뒤에 wi를 붙인다.
수식 | 예시 | ||
---|---|---|---|
주격 수식 |
a | 所 | 我 |
fucém-wi | xig’n-wit-a | ||
thing-NOM | 1SG-ModNOM-GEN | ||
-것이 | 나의 | ||
대격 수식 |
b | 所 | 我 |
fucém-ye | xig’n-yes-a | ||
thing-ACC | 1SG-ModACC-GEN | ||
-것을 | 나의 | ||
사동격 수식 |
c | 所 | 我 |
fucém-a | xig’n-at-a | ||
thing-CACC | 1SG-ModCACC-GEN | ||
-것을 | 나의 | ||
호격 수식 |
d | 所 | 我 |
fucém-i | xig’n-is-a | ||
thing-VOC | 1SG-ModVOC-GEN | ||
-것아 | 나의 | ||
여격 수식 |
e | 所 | 我 |
fucém-əğu | xig’n-əg-a | ||
thing-DAT | 1SG-ModDAT-GEN | ||
-것에 | 나의 | ||
탈격 수식 |
f | 所 | 我 |
fucém-iqu | xig’n-ik-a | ||
thing-ABL | 1SG-ModABL-GEN | ||
-것에서 | 나의 | ||
도구격 수식 |
g | 所 | 我 |
fucém-ağu | xig’n-ag-a | ||
thing-INS | 1SG-ModINS-GEN | ||
-것으로써 | 나의 | ||
공동격 수식 |
h | 所 | 我 |
fucém-ğu | xig’n-g-a | ||
thing-COM | 1SG-ModCOM-GEN | ||
-것과 | 나의 | ||
향격 수식 |
i | 所 | 我 |
fucém-omu | xig’n-om-a | ||
thing-LAT | 1SG-ModLAT-GEN | ||
-것으로 | 나의 | ||
비교격 수식 |
j | 所 | 我 |
fucém-ədu | xig’n-əd-a | ||
thing-COMP | 1SG-ModCOMP-GEN | ||
-것보다 | 나의 |
다음은 명사의 속격에 대한 설명이다. 로포나어의 속격은 오로지 소유를 나타내는 용도로만 쓴다. 속격 명사를 꾸미고 싶다면, 관형사의 경우는 수식할 명사의 굴절어미와 똑같은 굴절어미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속격을 수식하는 속격도 원리가 크게 다르지 않다. 단지 굴절어미가 길고 많이 교착될 뿐이다. 이에 대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모든 사람들의 나라를 | |||
---|---|---|---|
a | 囯 | 人 | 諸。 |
kowát-ye | jujú>zu<k-yes-a | risáp-yes-a | |
country-ACC | people>PL<-ModACC-GEN | all-ModACC-ModGEN | |
나라를 | 사람들의 | 모든 |
a처럼 "모든 사람들의 나라를"은 囯人諸(kowáče jujúzučesa risápyesa)로 쓸 수 있다. 여기서, 사람이라는 단어 人(jujúk)에는 목적어를 수식하기에 yes-a가 붙었고, 모든이라는 단어 諸(risáp)에는 그 단어가 수식하는 人(jujúzučesa)와 동일한 굴절어미가 붙었다. 명사로 속격 명사를 꾸미고 싶은 경우는 중간에 ah를 한번 더 끼워 넣어주면 된다.
신의 사람들의 나라를 | |||
---|---|---|---|
b | 囯 | 人 | 祕。 |
kowát-ye | jujú>zu<k-yes-a | həbís-yes-ah-a | |
country-ACC | people>PL<-ModACC-GEN | god-ModACC-ModGEN-GEN | |
나라를 | 사람들의 | 신의 |
b처럼 "신의 사람들의 나라를"은 囯人祕(kowáče jujúzučesa həbíšesaha)로 쓸 수 있다. 여기서 쓰인 祕(həbíšesaha)를 분해하면 həbís + yes + ah + a가 되는데, 이 중 həbís는 어간, yes는 목적어를 꾸민다. 하지만 여기서는 뒤에 ah가 붙어 관형어를 꾸밈으로써 이중수식이 나타난다.
네가 가장 좋다. | |||
---|---|---|---|
c | 汝 | 好 | 㝡。 |
šiníd-wi | coz’t-e-ø-ø | zomucéz-e | |
2SG-NOM | good-PRS-IND-ACT | most-ModV | |
네가 | 좋다. | 가장 |
부사로 동사를 꾸며주는 경우는 매우 간단하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꾸며줄 동사와 같은 굴절어미를 붙이는 것이 아닌, e를 붙인다는 것이다. 이는 동사의 현재시제 어미와 동일하다. c처럼, "네가 가장 좋다."를 汝好㝡(šiníji coz’te zomucéze)로 쓰면 가장을 뜻하는 단어 㝡(zomucéz)에 e가 붙었기 때문에 㝡(zomucéze)는 동사 好(coz’te)를 수식하는 것이 된다.
내포문
여기까지가 로포나어의 홑문장에 대해서였다면, 이 문단은 로포나어의 겹문장에 대해서이다. 로포나어의 겹문장은 주종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주종관계가 없는 문장일 경우 대부분의 화자가 두 개의 문장으로 분리해서 말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발화 습관 탓에, 실질적으로 현대 로포나어에는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이 없다 봐도 무관하다.
눈이 붉은 사람이 죽었다. | ||||
---|---|---|---|---|
a | 人 | 目 | 赤 | 死。 |
jujúk-wi | kobamúm-wit-wi | dafót-wit-e-ø-ø | dasát-a-ø-ø | |
people-NOM | eye-ModNOM-NOM | red-ModNOM-PRS-IND-ACT | die-PRS-IND-ACT | |
사람이 | 눈이 | 붉은 | 죽었다. |
a처럼 "눈이 붉은 사람이 죽었다."는 人目赤死(jujúqi kobamúmiči dafóčite dasáta)로 쓸 수 있다. 이중 안긴문장 "눈이 붉다"는 로포나어로 目赤(kobamúmi dafóte)라고 쓰는데, 이 때 目(kobamúmi)가 주어, 赤(dafóte)는 서술어라는 것은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위 문장에서는 "눈이 붉다"라는 문장 전체가 주어인 사람을 수식하고 있으므로 주어를 수식한다는 뜻의 wit을 각 단어에 붙이면 된다. 따라서 目赤(kobamúmiči dafóčite)라는 관형절이 형성되며, kobamúm + wit + wi, dafót + wit + e로 분해할 수 있다.
강아지는 빠르게 올 것이다. | ||||
---|---|---|---|---|
b | 犬 | 来 | 速。 | |
uxíd-wi | ximít-i-ø-ø | céc-en-e-ø-ø | ||
dog-NOM | come-FUT-IND-ACT | fast-ModV-PRS-IND-ACT | ||
강아지는 | 올 것이다. | 빠르게 |
다음으로 부사절의 경우를 보겠다. b의 "강아지는 빠르게 올 것이다"는 犬来速(uxíji ximíči cécene)로 쓸 수 있다. 이 중 안긴문장 "빠르다"는 로포나어로 速(céce)라고 쓰는데, 이 때 이 부사절이 동사를 수식하고 있으므로 동사를 수식한다는 뜻의 en을 각 단어에 붙이면 된다. 따라서 速(cécene)라는 부사절이 형성되며, céc + en + e로 분해할 수 있다.
나는 네가 왔어서 좋았다. | ||||
---|---|---|---|---|
c | 我 | 好 | 汝 | 来。 |
xig’n-wi | coz’t-a-ø-ø | šiníd-ar-wi | ximít-ar-a-ø-ø | |
1SG-NOM | good-PST-IND-ACT | 2SG-ModS-NOM | 2SG-ModS-PST-IND-ACT | |
나는 | 좋았다. | 네가 | 왔어서 |
종속절도 크게 다를 것이 없다. c처럼 "나는 네가 왔어서 좋았다"는 我好汝来(xig’ni coz’ta šinídari ximítara)로 쓸 수 있다. 이 중 안긴문장 "네가 왔다"는 로포나어로 汝来(šiníji ximíta)로 쓰는데, 이때 이 종속절이 주절을 수식하고 있으므로 문장를 수식한다는 뜻의 at을 각 단어에 붙이면 된다. 따라서 汝来(šinídari ximítara)라는 종속절이 형성되며, šiníd + ar + i, ximít + ar + a로 분해할 수 있다.
꿈을 이루면, 난 웃을 수 있을까? | ||||
---|---|---|---|---|
d | 吾 | 笑 | 㒱 | 建。 |
ukón-wi | ri-zučéb-e-da-ø | rušín-ar-ye | icóm-ar-e-ši-ø | |
1SG-NOM | Q-laugh-PRS-POSB-ACT | dream-ModS-ACC | achieve-ModS-PRS-SUBSEC-ACT | |
난 | 웃을 수 있을까? | 꿈을 | 이루면, |
또한 d의 "꿈을 이루면, 난 웃을 수 있을까?"는 吾笑㒱建(ukóni rizučébeda rušínarye icómareši?)로 쓸 수 있는데, 이 중 안긴문장 "꿈을 이루면"은 로포나어로 㒱建(rušínye icómeši)로 쓴다. 이때도 종속절이 주절을 수식하고 있으므로 문장를 수식한다는 뜻의 ar을 각 단어에 붙이면 된다. 따라서 㒱建(rušínarye icómareši)라는 종속절이 형성되며, rušín + ar + ye, icóm + ar + e + ši로 분해할 수 있다.
너의 이름을 만들었던 사람은 누구니? | ||||||
---|---|---|---|---|---|---|
e | 人 | 名 | 汝 | 作 | 孰 | 也。 |
jujúk-wi | šikód-wit-ye | šiníd-wit-yes-a-ø-ø | čizál-wit-a | šawáp-ye | ri-faéd-e-ø-ø | |
people-NOM | name-ModNOM-ACC | 2SG-ModNOM-ModACC-GEN | make-ModNOM-PST-IND-ACT | who-ACC | Q-be-PRS-IND-ACT | |
사람은 | 이름을 | 너의 | 만들었던 | 누구 | 니? |
이제 더욱 복잡한 문장을 다루어보자. e처럼 "너의 이름을 만들었던 사람은 누구니?"는 人名汝作孰也(jujúqi šikójiče šiníjičesa čizálita šawápye rifaéde?)로 쓸 수 있다. 이중 안긴문장 "너의 이름을 만들었다"는 로포나어로 名汝作(šikóje šiníjesa čizála)로 쓰는데, 이 때 관형절이 주어를 수식하고 있으므로 주어를 수식한다는 뜻의 wit을 각 단어에 붙여 名汝作(šikójiče šiníjičesa čizálita)라는 관형절을 만든 것이다.
도시로 가는 사람들의 꿈은 무엇이니? | ||||||
---|---|---|---|---|---|---|
f | 㒱 | 人 | 都 | 去 | 孰 | 也。 |
rušín-wi | jujúk-wit-a | rixíz-wit-ah-omu | cxík-wit-ah-e-ø-ø | šawáp-ye | ri-faéd-e-ø-ø | |
dream-NOM | people-ModNOM-GEN | city-ModNOM-ModGEN-LAT | go-ModNOM-ModGEN-PRS-IND-ACT | who-ACC | Q-be-PRS-IND-ACT | |
꿈은 | 사람들의 | 도시로 | 가는 | 무엇 | 이니? |
또한 f의 "도시로 가는 사람들의 꿈은 무엇이니?"는 㒱人都去孰也(rušíni jujúqita rixíjitahomu cxíqitahe šawápye rifaéde?)로 쓸 수 있다. 이 중 안긴문장 "도시로 가다"는 로포나어로 都去(rixízomu cxíke)로 쓰는데, 이 때 관형절이 주어를 수식한 관형어를 수식하고 있으므로, 주어를 수식함을 뜻하는 wit, 관형어를 수식함을 뜻하는 ah를 붙여서 都去(rixíjitahomu cxíqitahe)라는 관형절을 만든 것이다. 이때 "witah"를 "주어를 수식하는 관형어를 수식하는"으로 해석할 수 있다면 로포나어의 문법을 거의 정복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汝(šiníjičesa)나 都(rixíjitahomu)의 형태처럼 특정 자모가 붙어 발음이 변화되는게 난관일 수 있지만, 적어도 루시메즈-신성문자 혼용 표기법에서는 어원을 살려 표기하고 있기 때문에 큰 벽은 아닐 것이다.
병렬
로포나어의 병렬은 "그리고" 한가지만이 존재한다. 병렬을 나타내는 단어가 따로 있지는 않고, 주어와 목적어를 각각 2개 쓰는 식으로 병렬을 나타낸다. 하지만 병렬 구조 내에서 단어 수식이 있으면 상호 관계를 단박에 알아채기 힘들기 때문에, 로포나어에서는 이를 구별하기 위해 "uC"를 사용한다. 다음은 병렬 구조의 예이다.
어제와 오늘은 같다. | |||
---|---|---|---|
a | 昨 | 今 | 如。 |
rizár-wi | jín-wi | nikód-e-ø-ø | |
yesterday-NOM | today-NOM | same-PRS-IND-ACT | |
어제와 | 오늘은 | 같다. |
나는 붉은 꽃과 푸른 나무를 보았다. | ||||||
---|---|---|---|---|---|---|
b | 吾 | 花 | 赤 | 木 | 緑 | 見。 |
ukón-wi | alét-ut-ye | dafót-ut-yes-e-ø-ø | mudocús-us-ye | slús-us-yes-e-ø-ø | mát-a-ø-ø | |
1SG-NOM | flower-TypeT-ACC | red-TypeT-ModACC-PRS-IND-ACT | tree-TypeS-ACC | green-TypeS-ModACC-PRS-IND-ACT | see-PST-IND-ACT | |
나는 | 꽃과 | 붉은 | 나무를 | 푸른 | 보았다. |
슬루 루시치는 머리카락이 녹색인 위대한 여신이다. | ||||||
---|---|---|---|---|---|---|
c | 㒱七 | 女祕 | 偉 | 髪 | 緑 | 也。 |
rušičíb-wi | anihəbís-ye | rewés-yes-e-ø-ø | izéx-yes-us-wi | slús-yes-us-e-ø-ø | faéd-e-ø-ø | |
rusici-NOM | goddess-ACC | great-ModACC-PRS-IND-ACT | hair-ModACC-TypeD-NOM | green-ModACC-TypeD-PRS-IND-ACT | be-PRS-IND-ACT | |
슬루 루시치는 | 여신 | 위대한 | 머리카락이 | 녹색인 | 이다. |
이 중 a의 경우는 단순하게 주어를 2개 썼지만, b의 경우는 ut와 us가 붙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ut이 붙은 수식어는 ut이 붙은 목적어를 수식하고, 이중 us가 붙은 수식어는 us가 붙은 목적어를 수식하는데, 이는 어순이 무작위로 섞여도 그 뜻을 알기 위함이다. 이 굴절어미를 "구분어미"라 칭하는데, 구분어미는 앞서 설명했듯 u 뒤에 자음 한 개가 붙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때 병렬 구조를 이루는 다른 단어와 겹치지 않게만 하면 되고, 문법적 성처럼 어떤 단어는 어떤 자음만 써야 한다는 규칙이 있는 건 아니다. 또한 구분어미의 붙는 위치는 병렬 관계가 일어나는 굴절어미의 바로 앞이다.
b에서는 병렬관계가 목적어(ye)에서 일어나므로 ye와 yes 앞에 구분어미가 붙은 것이다. c의 경우는 절 2개가 병렬을 이루는 구조이다. 이 경우도 ud가 붙은 단어들끼리만 절을 형성하는데, 이 또한 어순이 무작위로 섞여도 그 뜻을 알기 위함이다. 또한 偉는 병렬을 이루면서도 구분어미가 없는데, 이는 이 단어를 수식하는 단어도 없고 이 단어의 절은 1개의 단어만으로 이루어져 구분어미가 a처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생략
로포나어에는 생략할 수 있는 단어들이 2개 존재하는데, 바로 명사 所(fucém)과 동사 也(faéde)이다. 所(fucém)은 보조사가 없는 경우에 언제나 생략 가능한데, 이는 所(fucém)이 의존명사이기 때문에 항상 수식하는 단어와 함께 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所(fucém)이 문장에서 생략돼도 그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也(faéde)는 계사로써 "~이다" 정도의 뜻을 가지는데, 也(faéde)는 所(fucém)과 다르게 현재시제 · 직설법 · 능동태 · 평서문일때만 생략할 수 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 a: 所孰消。(fucémi šawápita siskópa)
→ 孰消。(šawápita siskópa)
所(fucém) 생략으로, 주어 所(fucémi)를 꾸며주는 孰(šawápita)가 존재하기 때문에 주어는 없지만, 주어를 수식하는 단어는 있는 문장이 된다. 이런 문장의 경우, 당황하지 말고 주어 자리에 所(fucém)을 넣어주면 된다.
- b: 鏋黄也。(jimáči geyobáše faéde)
→ 鏋黄。(jimáči geyobáše)
也(faéde) 생략으로, 문장에 서술어가 없는 문장이 되었다. 이런 문장의 경우도 서술어 자리에 也(faéde)를 넣어주면 된다.
- c: 㒱汝孰也。(rušíni šiníjita šawápye rifaéde?)
→㒱汝孰。(rušíni šiníjita šawápye?)
→ 㒱汝孰。(rušíni šiníjita šawápye ri?) (구어체)
잘못된 也(faéde) 생략의 예시이다. 也(faéde)가 의문형으로 也(rifaéde)가 되었음에도 생략했는데, 也(faéde)는 상술했듯이 현재시제·직설법·능동태·평서문일 때만 생략할 수 있다. 다만, 구어체에 한해서 rifaéde는 ri로, dafaéde는 da로, dalifaéde는 dali로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 d: 行星海紫也見。(harepisə́še šiméryeši cmípyeše faéjese máta)
→ 行星海紫見。(harepisə́še šiméryeši cmípyeše máta)
也(faéde)가 也(faéjese)로 굴절되었음에도 생략할 수 있는데, 이는 관형절의 서술어이기 때문에 也(faéde) 생략 조건인 현재시제·직설법·능동태·평서문을 모두 만족한다. 이 문장은 也(faéjese)를 생략하면 관형절이 서술어가 없는 절이 되는데, 이 경우도 서술어 자리에 也(faéde)를 넣어주면 된다.
회화
- 안녕!
好 。(Cozte!) - 만나서 반갑습니다!
好 遇 。(Cozte Riyodabare!) - 감사합니다!
感謝 。(Calyale!) - 미안합니다.
安 。(Damenide) - 안녕히 주무세요.
㒱 好 。(Rušireto Coztene) - 안녕히 가세요.
去 好 。(Cxiketo Coztene)
- 긍정의 대답
適 。(Čicoze),知 。(Asle) - 부정의 대답
不 。(Hajizuke), 。(Da)
예문
- 나무위키, 여러분들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木知汝飬。
Namuwikími mudocúše as’yesa šinízuješi yapúmyeso.
- 머리에 꽃을 꽂은 많은 어린 소녀들이 모닥불 주위에서 춤을 추었다.
女児多幼花頭揷傍烘舞。
Anišázuli šišíjite bayánite alečitupye sxíritupoğu secápitupe cpášiqu fogóčika musicána.
-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人諸㫑出自由、而其尊厳其权利如。
人理性良心先天的受、而相魂兄弟爱動。
Jujúqi risápi zríliqu katúnika ijilále, xijése xičixisunámi xičizolijími nikóde.
Jujúqi rasémye rasámye sašipúmoğu fasópa, xijése mumúri yəğísağu imajiličijímaje čizópeto.
각주
- ↑ 2024년 9월 10일 08시 37분 00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보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사를 사용한 문장, 보어를 필요로 하는 자동사 또는 타동사를 사용한 문장.
- ↑ 4.0 4.1 루시메즈에서는 y, w를 모음으로 취급한다.
- ↑ 5.0 5.1 루시메즈로는 원형을 살려 표기한다.
- ↑ 로마자 표기에서는 생략한다.
- ↑ 주격 명사만 필요한 동사가 있는 반면, 대격 명사와 여격 명사까지 필요한 동사도 있다.
- ↑ 로포나어에서는 외래어를 들여올 때 명사/수사면 m, 동사면 l, 관형사면 h, 부사면 x를 붙인다.
- ↑ 9.0 9.1 9.2 9.3 9.4 9.5 로포나어에서 어두의 l은 r로 바뀌었다.
- ↑ 10.0 10.1 10.2 10.3 일본어의 よん과 しち처럼 고유어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 ↑ 11.0 11.1 11.2 11.3 11.4 11.5 14진법
- ↑ 12.0 12.1 12.2 12.3 12.4 12.5 10진법
- ↑ 종속절이 아닌 주절에서 쓰이면 소망을 나타낼 수 있다.
- ↑ 원래는 주어 없이 쓰인다. 주어와 함께 쓰이면 "~해야 한다"의 뜻이 된다. 또한 주어 없이 의문형으로 쓰이면 "~할래?"의 뜻이 된다.
- ↑ 상태·성질을 나타내는 상태 동사의 수동태는 “~해지다”의 의미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