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삼오일 관련 문서 | ||||
---|---|---|---|---|
이 문서에서는 사삼오일의 문법을 설명한다.
요약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 : | = | ; | @ | ϵ | ω | ϙ | § | { | , | } |
객체 | 동작 | 속성 | ||
수 | 시제 | 속성 |
주어(S) | 목적어(O) | 서술어(V) | 수식어(M)[3] |
객체 | 객체 | 동작 | 속성 |
S | : | O1 | = | V | |||
---|---|---|---|---|---|---|---|
S | { M1, M2, M3, … } | : | O1 | { M1, M2, M3, … } | = | V | { O2, O3, …, M1, M2, M3, … } |
- 문단: 복수의 문장을 각각 세미콜론(;)으로 구분해 나열한 것
단어와 품사
사삼오일의 단어는 객체, 동작, 속성의 세 가지 품사로 구분된다.
객체는 의미상 존재를 가리키는 품사 분류로, 주로 물건이나 사람, 동식물 등을 가리킬 때 쓰인다. 문장 성분 중에서는 주로 주어, 목적어의 역할을 한다.
동작은 의미상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품사로, 문장 성분 중에서는 주로 서술어의 역할을 한다. 단어에 따라 목적어가 필요 없기도, 여러 개 필요하기도 하다.
속성은 의미상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품사이다. 중괄호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다른 단어의 뒤에 붙어서 그 단어의 상태나 그 단어가 가진 성질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수
수(數)는 의미상 사물의 개수나 순서등을 나타내는, 속성의 하위 품사이다. 중괄호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다른 단어의 뒤에 붙어서 그 단어의 개수나 순서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수는 그 성질에 따라 순수(純-), 기수(基-), 서수(序-)로 나뉜다.
순수 | { | 소수점 없는 가수부[4] | ϵ | 지수부[5] | } |
---|---|---|---|---|---|
기수 | { | 소수점 없는 가수부 | ϙ | 지수부 | } |
서수 | { | 소수점 없는 가수부 | ω | 지수부 | } |
시제
문장 성분
주어(S)
목적어(O)
서술어(V)
수식어(M)
수식어는 주어, 목적어, 서술어의 뒤에 와서 앞말의 속성을 설명하는 문장 성분이다. 다른 문장 성분의 바로 뒤에 그 성분의 속성을 중괄호({...})로 감싸 열거한다.
어순과 문장 구조
사삼오일은 SOV형 언어이다.
목적어가 하나인 문장
목적어가 하나인 문장은 다음의 형태로 구성된다.
주어 | : | 목적어 | = | 서술어 |
---|
위의 표에서 빈 칸은 공백 문자( )를 의미한다.
목적어가 두 개인 문장
서술어에 따라 목적어가 여러 개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특히 목적어가 두 개인 문장은 다음의 형태로 구성된다.
주어 | : | 목적어1 | = | 목적어2 | . | 서술어 |
---|
주어 | : | 목적어1 | = | 서술어 | { | 목적어2 | } |
---|
목적어가 두 개 이상인 문장
목적어가 두 개 이상인 문장은 다음의 형태로 구성된다.
주어 | : | 목적어1 | = | 서술어 | { | 목적어2 | , | 목적어3 | } |
---|
위의 표에서 배경색이 없는 부분이 필요한 목적어 수만큼 반복된다.
주어가 생략된 문장
맥락에 따라 화자 혹은 이전 문장의 주체를 해당 문장의 주체로 할 수 있을 때에만 문장의 주어를 생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목적어 | = | 서술어 |
---|
목적어가 생략된 문장
서술어가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문장에 목적어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단, 목적어가 존재해야 하는 서술어가 사용된 문장에서는 목적어를 생략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만약 목적어가 그르게 생략된 문장이 있다면 목적어의 자리에 '4351(placeholder)'이 있는 것처럼 해석한다.
주어 | : | = | 서술어 |
---|
구와 절
구와 절은 문장 내에서 품사가 객체인 것처럼 취급한다.
구; 서술어가 없는 단어열
서술어가 포함되지 않은 단어열을 구(phrase)라고 한다.
절; 서술어가 있는 단어열
서술어가 포함된 단어열을 절(clause)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