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랑의 학교에서도 세츠모로 일기를 쓰게 시키는 등, 세츠모의 보급이 크다.
랑의 학교에서도 세츠모로 일기를 쓰게 시키는 등, 세츠모의 보급이 크다.
===작명===
===작명===
신분에 따라 작명법이 다르다.
#'''세군'''([[요츠키미]]) : (이름) 浪
예시 ) 㳉 浪 / [[츠키 에이지]]
#'''군''' : (군호) (軍/君)<ref>군저(세자)이면 君을, 아니라면 軍을 사용한다 자세한건 [[요츠키미]] 참고</ref>
예시 ) 成連君 / 세이렌군([[츠코우에 에이지|성련군]])
#'''귀족''' : (성) (이름) (지위)
예시 ) 迌𫎖㖺金所長 / 츠키야 고우슌 금소장
#'''평민''' : (성) (이름)
예시) 千久單葉 / 센큐 히토하
#'''천민''' : (가)之(이름)
예시) 𧰋之石宇 / 하츠쿠노 이시치
특이하게 성이 아니라 속한 집의 이름을 사용한다.<ref>보통 집의 가문의 한자와 같다.</ref> 공노비의 경우, 성을 사용하지 않는다.
====피휘====
====피휘====
과거 랑에서 일반적인 피휘 습관은 그렇게 강하지 않으나, 유독 요츠키미에 대한 피휘는 강하였다.<br>
과거 랑에서 일반적인 피휘 습관은 그렇게 강하지 않으나, 유독 요츠키미에 대한 피휘는 강하였다.<br>

2024년 5월 20일 (월) 02:42 기준 최신판


개요

랑족랑서국 랑서국의 문화를 서술한 문서이다.

언어

랑어를 사용한다. 또한 문어로서 랑어의 세츠모를 사용한다.

신성문자를 사용하는 국가에서도 한문 문법은 사멸한 경우가 잦지만, 랑은 아직까지 문어체로서 한문 문법을 고수하고 있다.[3]
랑의 학교에서도 세츠모로 일기를 쓰게 시키는 등, 세츠모의 보급이 크다.

작명

신분에 따라 작명법이 다르다.

  1. 세군(요츠키미) : (이름) 浪

예시 ) 㳉 浪 / 츠키 에이지

  1.  : (군호) (軍/君)[4]

예시 ) 成連君 / 세이렌군(성련군)

  1. 귀족 : (성) (이름) (지위)

예시 ) 迌𫎖㖺金所長 / 츠키야 고우슌 금소장

  1. 평민 : (성) (이름)

예시) 千久單葉 / 센큐 히토하

  1. 천민 : (가)之(이름)

예시) 𧰋之石宇 / 하츠쿠노 이시치 특이하게 성이 아니라 속한 집의 이름을 사용한다.[5] 공노비의 경우, 성을 사용하지 않는다.

피휘

과거 랑에서 일반적인 피휘 습관은 그렇게 강하지 않으나, 유독 요츠키미에 대한 피휘는 강하였다.
그래서 한 번 세군의 이름에 쓰인 한자는 영구적으로 사용을 랑에서의 사용을 막았고, 함부로 이를 수 없게 하였다.

다만 츠코우에 시대부터는 그런 인식이 약해지며 이제는 역사서에서 쉽게 그 이름을 볼 수 있게 되었으나...

自名避方萬民不難自之僻用卽君道
자신의 이름이 피휘될 때, 일부러 자신의 이름에 벽자(僻字)를 사용하여 만민이 힘들지 않게 하는 것이 군자의 도리이다.

 
— 미나이 에이지, 4대 요츠키미

피휘가 이루어졌을 때 일부러 어려운 한자를 택하거나 심지어 제자(製字)까지 행하는 것이 일종의 불문율로 여겨졌으며, 이는 현대까지 남아있는 랑의 풍습이다. 이를 위의 미나이 세군의 말을 따와 자벽사상(自僻思想)혹은 자지벽용즉군도사상(自之僻用卽君道思想)이라 부른다.
또한 이런 세군의 작명법에 따라 피휘가 이루어지지 않는 귀족들이나 일부 평민들까지 일부러 벽자를 사용하여 작명하는 풍습이 있다.[6]

종교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세이텐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음식

경조사

성인식

혼레

장례

기타

도보게

랑서국
랑족
랑어

  1. 2024년 6월 2일 14시 52분 26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다만 전통적인 한문보다는 언어를 생략하면서 한문에 가까워진 것이다.
  4. 군저(세자)이면 君을, 아니라면 軍을 사용한다 자세한건 요츠키미 참고
  5. 보통 집의 가문의 한자와 같다.
  6. 다만 왕의 이름은 대부분 단자인데 반해 귀족의 이름들은 두글자 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재래적인 작명법과 융합되었다는 추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