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트/지리

Junhg0211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6월 8일 (수) 19:19 판 (새 문서: {{사트}} 본 문서에서는 사트의 지리에 대하여 서술한다. == 대륙과 해양 == 파일:Tasdia de sat.png 사트는 북메디아, 남메디아, 펠레마, 아트리아, 탄티샤, 레니스카 총 6개의 대륙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륙 사이의 대양의 이름은 각 대륙의 이름을 조합하여 만들었는데 프로테샤, 티펠라트리아, 메티샤, 아트레니스카, 북탄디아, 남...)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본 문서에서는 사트의 지리에 대하여 서술한다.

대륙과 해양

Tasdia de sat.png

사트는 북메디아, 남메디아, 펠레마, 아트리아, 탄티샤, 레니스카 총 6개의 대륙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륙 사이의 대양의 이름은 각 대륙의 이름을 조합하여 만들었는데 프로테샤, 티펠라트리아, 메티샤, 아트레니스카, 북탄디아, 남탄디아로 총 6개의 대양이 있다.

판구조

사트의 판들은 대륙판과 해양판으로 구성된다. 판의 경계는 판이 서로 충돌하는 수렴형 경계, 판이 서로 어긋나는 보존형 경계, 판이 서로 멀어지는 발산형 경계가 있다.

  • 수렴형 경계에서는 대륙판과 대륙판이 만날 경우 충돌형 경계로 습곡 산맥이, 대륙판과 해양판이 만날 경우 섭입형 경계로 해구와 호상열도가, 해양판과 해양판이 만날 경우 해구가 만들어진다.
  • 보존형 경계에서는 변환 단층이 만들어진다.
  • 발산형 경계에서는 대륙판과 대륙판이 멀어질 경우 열곡대가, 해양판과 해양판이 멀어질 경우 해령이 만들어진다.

다음은 사트의 판구조이다.

사트 판구조
판 명칭 수렴형 경계 발산형 경계 보존형 경계 섭입 구간
30˚N 60˚N 90˚N 120˚N 150˚N 180˚ 150˚V 120˚V 90˚V 60˚V 30˚V
+0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90˚U 프로테바 판 크리상테스 판 시메타시스 판
(북탄티샤 판)
프로테바 판
70.42˚U
크리상테스판
60˚U 탄티샤 판 북메디아 판 메티샤 판 탄티샤 판
(북탄디아 판)
30˚U
19.58˚U
북위 라시디판
남위 레니스카 판
(남탄디아 판)
남메디아 판 아트리아 판 발로타 판
(아트레니스카 판)
레니스카 판
(남탄디아 판)
19.58˚K 펠레마 판
(티펠라트리아 판)
30˚K
60˚K
70.42˚ 티카 판 펠레마 판
(티펠라트리아 판)
티카 판
90˚K

해류

사트에서는 코리올리 힘에 의한 바람 때문에 표층 해류가 나타난다. 저위도 지방에서 비롯된 따뜻한 해류를 난류, 고위도 지방에서 비롯된 차가운 해류를 한류라 한다. 해류의 방향은 메티샤북탄디아 대양과 같이 사트의 북반구에 위치한 대양의 경우 시계방향으로, 아트레니스카남탄디아 대양과 같이 사트의 남반구에 위치한 대양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다음은 사트 해류의 목록이다.

기후

사트에서는 열대기후부터 한대기후까지 다양한 기후가 나타난다. 다만, 사트의 모성인 젤리에서 도달하는 광량이 지구보다 조금 작으므로, 열대기후가 차지하는 범위는 조금 더 좁고 한대기후가 차지하는 범위는 조금 더 넓은 경향이 있다.


산맥

관련 문서

각주

  1. 2024년 6월 2일 18시 48분 23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