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피니투라-페투치아-레조넌스 제국 𝐓𝐚𝐢𝐧𝐚𝐭𝐢𝐨 𝐝𝐢𝐞 𝐏𝐢𝐧𝐢𝐭𝐮𝐫𝐚-𝐏𝐞𝐭𝐮𝐜𝐢𝐚-𝐑𝐞𝐳𝐨𝐧𝐲𝐧𝐬 | ||||
[ 펼치기 · 접기 ] |
셀렌드리얼 전례력 Σελλρανδριεολ φισισριπι | |
---|---|
중앙에서 반포한 통일달력양식의 1월에 해당하는 오누시온(Ονυσιον)의 달이다. | |
발명지 | 셀렌드리얼 |
발명자 | 에고로코세 코르비온 |
서기 | 2022년 |
자소크력 | 5701년 5월 8일[1] |
전례력 | 3698 |
개요
셀렌드리얼 전례력(피페레어:Σελλρανδριεολ φισισριπι)은 피페레 제국에서 통용되는 기년법으로, 시띵이 탄생한 해인 자소크력 기준 2003년 1월 1일을 0년으로 계산하는 역법이다. 셀렌드리얼 전례력을 표기할때는 대부분 공식문서에선 자소크력과 병기하며, 셀렌드리얼 dd-m-yyyy 식으로 쓰게 된다.
방식
시띵의 탄생년인 자소크력 기준 2003년을 0년으로 삼고 1년을 175일로 산정하여 한달에 35일씩 있는 5개의 달, 실제와의 괴리를 보정하기 위해 있는 윤달과 같은 개념의 Τασιμιασ[2], 즉 6월에 해당하는 하루에서 며칠정도밖에 없는 달까지 하여 총 6개월로 1년을 구성한다. 윤달은 다음 해를 준비하는 달이며, 한달 내내 명절기간이기도 하다.
한달에서 주는 3주가 있는데, 한주는 12일로 구성된다. 다만, 한달이 35일로 홀수이므로 12일이 3개일 수는 없어서 12일 2주와 11일 한주로 구성된다. 하루의 기준은 해가 질때 하루가 끝나고, 동이 틀때 하루가 시작되며 밤동안은 전날로 본다. 원래 2003년 3월 10일을 0년으로 삼았으나, 불편을 이유로 그 날을 성탄절이자 대축일로 기념하기로 하고, 2003년 1월 1일을 0년의 기준으로 잡기로 결정하여 지금에 이른다.
자소크력과 많은 괴리가 발생하는데, 명절이나 종교적인 날의 경우는 무조건 전례력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자소크력과 전례력의 기념일이 겹치면 그날을 기념일로 삼고 있다. 또한 셀렌드리얼 기준으로 설정된 날짜이므로, 피니투라와 페투치아, 레조넌스가 한해가 끝나는 날이 서로 다른 것도 문제이다. 이땐 6월에 해당하는 윤년에 며칠을 추가하거나 빼는 방식으로 조율하고 있다.
역사
월별 명칭
피페레어 | 발음 | 의미 | 계절 |
---|---|---|---|
Ονυσιον | [onusion] 오누시온 |
태양의 달, 1월 | 봄 |
Μανυσιον | [manusion] 마누시온 |
나무의 달, 2월 | 봄 |
Ροτισιον | [rotision] 로티시온 |
새의 달, 3월 | 여름 |
Ονυϟιιον | [onuqiion] 오누퀴온 |
황혼의 달, 4월 | 가을 |
Ιτσιον | [itsion] 잇시온 |
달의 달, 5월 | 겨울 |
Τασιμασιον 변동 |
[tasimasion] 타시마시온, 변동 |
먼 겨울, 6월(윤달) | 겨울~봄 |
각 달은 각각 순서대로 태양, 나무, 새, 황혼, 달 뒤에 접미사인 "σιον"을 붙여서 만드는 단어이다. 1년의 순서대로 1월은 해가 뜨고, 2월엔 나무에 잎이 풍성해지고, 3월엔 새가 날아다니며, 4월엔 해가 져가고, 5월엔 해가 졌다는 것으로 한해를 표현한다. 6월에 해당하는 해는 특별한 전통이 있는데, 명칭상 타시마시온(윤달)이라 통칭하지만 윤달에 해당하는 6월은 아도르카가 즉위할때 어떻게 부를지 정하는 전통이 있다.
따라서, 아도르카가 만약 αλπη(알파) 를 윤달의 이름으로 선포하면, 그 달은 해당 아도르카가 재위하는 한 계속 알파라 불리며 일종의 연호 역할도 겸하게 된다. 예를들어 알파를 선포한 아도르카가 5년을 재위할때, 그때는 알파 4년이다. 아도르카가 재위한 후로 지나간 윤달의 숫자만큼 그 해의 이름 뒤에 ~년 으로 순서를 세기 때문이다. 현재 아도르카가 붕어하면 다음 아도르카가 재위할때까지 윤달의 이름은 타시마시온으로만 불리게 된다.
한주 명칭
피페레어 | 발음 | 의미 |
---|---|---|
ζικσισ | [ziksis] 직시스 |
일주일중 첫째날, 쥐 |
μυνσισ | [munsis] 문시스 |
일주일중 둘째날, 소 |
υηυνσισ | [uhunsis] 운시스 |
일주일중 셋째날, 호랑이 |
ζιψοκσισ | [zicoksis] 지코시스 |
일주일중 넷째날, 토끼 |
ϟυσισ | [qusis] 쿠시스 |
일주일중 다섯째날, 용 |
σηισισ | [shisis] 쉬시스 |
일주일중 여섯째날, 뱀 |
ηινσισ | [hinsis] 힌시스 |
일주일중 일곱째날, 말 |
μανσισ | [mansis] 맨시스 |
일주일중 여덟번째날, 양 |
υγσισ | [ugsis] 억시스 |
일주일중 아홉번째날, 원숭이 |
ψοσισ | [cosis] 코시스 |
일주일중 열번째날, 닭 |
οwυλσισ | [owulsis] 오울시스 |
일주일중 열한번째날, 개 |
γυνσισ | [gunsis] 군시스 |
일주일중 열두번째날, 돼지 |
일주일은 12일이며, 8일을 일하고 4일은 휴식한다. 또한 각 요일의 경우 동물의 이름을 땃으며, 메타적으로 12일임을 가만해 십이지(十二支)의 동물 순서를 따서 지어졌다. 논외로, 각 동물의 명칭 뒤에 -σισ(sis)를 붙여서 요일을 뜻하게 하는데 각 동물의 명칭은 울음소리에서 딴것이다. 토끼인 지코시스, 용인 쿠시스를 제외하고 모두 울음소리로 지어졌다. 토끼는 뛰는 소리를, 용은 콰미드에서 따서 지어진 것이다.
한달에서 마지막 세번째 주는 11일로 구성되는데, 이때는 7일을 일하고 4일을 휴식한다. 콰미드는 신체구조상 휴식이 보장되지 않으면 신체에 피로가 누적되고, 근육내 젖산이 제대로 해소되지 않아 독으로 작용하여 큰 병을 앓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 윤달에는 날짜가 있는 만큼만 세게 된다. 대체로 많아봤자 직시스, 문시스, 운시스 정도가 끝이기 때문이다.
각주
- ↑ 2024년 9월 9일 17시 35분 01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tasimias]